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시뮬레이션
- 백준 게리맨더링 2
- boj 16234
- BOJ 17142
- C++
- 완전탐색
- boj 연구소3
- dfs
- 백준 17779
- Bruteforce
- 백준2174
- simulation
- 백준 3190
- 백준 뱀
- boj 15685
- 삼성 문제
- BOJ
- C
- 알고리즘
- 백준 인구 이동
- 브루트포스
- 백준 16234
- 헷갈리는 용어
- 백준 로봇 시뮬레이션
- 백준 연구소3
- 삼성문제
- boj 3190
- 로봇 시뮬레이션
- 연구소3
- 구현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알고리즘/알고리즘 관련 궁금증 (1)
나의 공부장
백트래킹, 브루트 포스, DFS의 차이점?
위의 세 가지 모두 경우의 수를 다 돌려보는 느낌이 들지만, 정확히 따지자면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. 백트래킹 이미 지나쳐온 곳을 다시 돌아가서 다른 가능성을 시도해보는 걸 반복하는 기법입니다. 반드시 DFS만으로 가능한 게 아니고 BFS 등으로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DFS와 연관이 깊다고 합니다. 브루트 포스 꼭 '깊이'나 '탐색'의 개념이 아니더라도,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대입해보는 기법입니다. DFS 여러 지점을 한 단계씩 거쳐가면서 탐색하고, 스택의 개념을 이용해서 이전 단계로 돌아가야만 DFS라고 합니다.
알고리즘/알고리즘 관련 궁금증
2020. 5. 27. 00:5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