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로봇 시뮬레이션
- C
- 백준 연구소3
- 알고리즘
- 백준 인구 이동
- 구현
- 백준 17779
- 백준 3190
- Bruteforce
- 삼성 문제
- boj 연구소3
- 헷갈리는 용어
- 브루트포스
- 백준 16234
- C++
- 삼성문제
- 백준2174
- BOJ 17142
- simulation
- 연구소3
- 백준 게리맨더링 2
- BOJ
- 완전탐색
- 백준 로봇 시뮬레이션
- dfs
- 백준 뱀
- boj 16234
- boj 15685
- boj 3190
- 시뮬레이션
- Today
- Total
나의 공부장
백준 1018 체스판 다시 칠하기 [BruteForce] 본문
문제 링크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18
1018번: 체스판 다시 칠하기
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. N과 M은 8보다 크거나 같고,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보드의 각 행의 상태가 주어진다. B는 검은색이며, W는 흰색이다.
www.acmicpc.net
문제 풀이
N X M 판에서, 8 X 8 판을 떼어내서 체스판이 되게 다시 칠해주는 작업을 할 때
그 횟수가 최소가 되는 부분을 찾아내는 문제입니다.
문제를 잘게 쪼개서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1. N X M을 8 X 8의 크기로 잘라낸다. (수많은 체스판들이 나옵니다.)
2. 잘라난 체스판을 가장 왼쪽 위가 흰색인 부분과, 가장 왼쪽 위가 검정색인 부분을 나눈 후 색칠을 합니다.
3. 가장 왼쪽 위가 흰색인 부분의 count와 가장 왼쪽 위가 검쟁색인 부분의 count와 비교해서 더 작은 값을 갱신합니다.
copy_a는 가장 왼쪽 위가 흰색이라고 생각하고,
copy_b는 가장 왼쪽 위가 검정색이라고 생각하고 문제에 접근했습니다.
* 주의할 점이 가장 왼쪽 위가 흰색인 것과, 가장 왼쪽 위가 검정색인 것의 차이가 있습니다!
둘이 처음에는 저도 같은 값이 나올 줄 알았는데, 실은 다르다는 것입니다.
저도 이 부분은 https://yabmoons.tistory.com/119#comment15736501
[ 백준 1018 ] 체스판 다시 칠하기 (C++)
백준의 체스판 다시 칠하기(1018) 문제이다. ( 문제 바로가기 ) [ 문제풀이 ] 1) 이 문제는 주어진 맵에서 8x8 크기만큼 떼어냈을 때, 다시 칠해야 하는 정사각형의 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이다. 체스판은 가장..
yabmoons.tistory.com
위의 블로그를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또, 이 문제는 최솟값을 찾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초기 설정을 잘해줘야 정답이 나옵니다.
여기서 최대한 나올 수 있는 값은 32입니다.
체스판 8 X 8이라는 64개의 정사각형에서, 체스판은 흑백 흑백 순으로 나와야 되기 때문에 나올 수 있는 최대의 경우는 32가 됩니다.
저는 최대치 계산이 처음에는 잘 몰라서, -1로 해놓고 이후에는 min을 이용해서 갱신했지만
풀고 보니 32 값도 됩니다!
소스 코드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#define MAX_SIZE 50 + 1
using namespace std;
char a[MAX_SIZE][MAX_SIZE];
char copy_a[8][8];
char copy_b[8][8];
int dx[] = { 0,0,-1,1 };
int dy[] = { 1,-1,0,0 };
int n, m;
int main()
{
freopen("input.txt", "r", stdin);
cin >> n >> m;
for (int i = 0; i < n; i++)
{
for (int j = 0; j < m; j++)
{
cin >> a[i][j];
}
}
int ans = -1;
for (int i = 0; i < n; i++)
{
for (int j = 0; j < m; j++)
{
// (i,j)를 기준으로 8 * 8 크기를 만들 수 있다면
if (i + 7 < n && j + 7 < m)
{
int x = 0, y = 0;
// copy맵에 복사해놓기
for (int k = i; k <= i + 7; k++, x++)
{
for (int l = j; l <= j + 7; l++, y++)
{
copy_a[x][y] = a[k][l];
copy_b[x][y] = a[k][l];
}
y = 0;
}
int cnt = 0;
// 8 * 8 체스판에 필요한 부분을 색칠한다.
// 가장 왼쪽 위가 흰색인 경우 copy_a
if (copy_a[0][0] == 'B')
{
copy_a[0][0] = 'W';
cnt++;
}
for (int i2 = 0; i2 < 8; i2++)
{
for (int j2 = 0; j2 < 8; j2++)
{
int cx = i2;
int cy = j2;
for (int dir = 0; dir < 4; dir++)
{
int nx = cx + dx[dir];
int ny = cy + dy[dir];
if (nx >= 0 && ny >= 0 && nx < 8 && ny < 8)
{
//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각형은 다른 색으로 칠해져야 하므로
if (copy_a[nx][ny] == copy_a[cx][cy])
{
cnt++;
if (copy_a[cx][cy] == 'B') copy_a[nx][ny] = 'W';
else copy_a[nx][ny] = 'B';
}
}
}
}
}
if (ans == -1) ans = cnt;
else ans = min(ans, cnt);
// 가장 왼쪽 위가 검정색인 경우 copy_b
cnt = 0;
if (copy_b[0][0] == 'W')
{
copy_b[0][0] = 'B';
cnt++;
}
for (int i2 = 0; i2 < 8; i2++)
{
for (int j2 = 0; j2 < 8; j2++)
{
int cx = i2;
int cy = j2;
for (int dir = 0; dir < 4; dir++)
{
int nx = cx + dx[dir];
int ny = cy + dy[dir];
if (nx >= 0 && ny >= 0 && nx < 8 && ny < 8)
{
//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각형은 다른 색으로 칠해져야 하므로
if (copy_b[nx][ny] == copy_b[cx][cy])
{
cnt++;
if (copy_b[cx][cy] == 'B') copy_b[nx][ny] = 'W';
else copy_b[nx][ny] = 'B';
}
}
}
}
}
if (ans == -1) ans = cnt;
else ans = min(ans, cnt);
}
}
}
cout << ans << '\n';
return 0;
}
'알고리즘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4499 주사위 굴리기 [Simulation] (0) | 2020.04.28 |
---|---|
백준 1182 부분 수열의 합 [BruteForce] (0) | 2020.04.26 |
백준 2309 일곱 난쟁이 [BruteForce] (0) | 2020.04.24 |
백준 10448 유레카 이론 [BruteForce] (0) | 2020.04.24 |
백준 2493 탑 [Stack] (0) | 2020.04.18 |